할리우드가 주목하는 숏폼 모바일 영상 플래폼 퀴비! 제프리 4월6일 2020년 미국에서 런칭을 앞두고 있다. 모바일을 위한, 모바일에 의한 숏폼(Shortform) 콘텐츠 플랫폼으로 다른 플랫폼과는 무엇이 다른지 알아보자.
할리우드가 주목하는 숏폼 모바일 영상 플래폼 퀴비! 제프리 4월6일 2020년 미국에서 런칭을 앞두고 있다. 모바일을 위한, 모바일에 의한 숏폼(Shortform) 콘텐츠 플랫폼으로 다른 플랫폼과는 무엇이 다른지 알아보자.
스마트폰을 사용하다 보면 누구나 겪어봤을 것입니다. 유튜브 영상을 시청하다 다음 영상으로 넘어가는 순간 갑자기 커진 음량에 깜짝 놀라 음량을 조절하던 것을. 너무나 익숙한 일상이라 문제라고 생각하지도 못하던 문제입니다. “그 똑똑한 스마트폰이 알아서 좀 해주지 그것 하나도 해결 못하나?” 그런 생각을 가진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왜 이런 문제가 생겼을까요?
소리‘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라 많은 분들이 EQ 를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 처럼 가볍게 생각하실 수 있을 거같아요. 혹은 EQ기능이 없어서 생기는 문제점 자체를 알지 못하시는 분도 계실거구요. 👀👂
오늘은 청력과 관련하여 ELEQ가 뮤직/콘텐츠 플랫폼에 얼마나 경쟁력에 있고 매력있는 기술인지 쉽게 풀어드리고자 준비해보았습니다.
실재감 (Presence, Being there) 의 느낌은 VR/AR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결국 어떠한 시스템을 통해 한 경험이 실제의 경험처럼 느껴지려면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체험자의 감각으로 들어온 자극들이 실제 세계에서의 그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해야 합니다.
이 논문에서는 그것을 다각적 미디어 시스템 (multi-modal media system) 중오디오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평가하는 척도 (metric) 로 사용할 것을 제안합니다. 꽤나 오래전 논문이긴 하지만, 3-D 오디오를 이용한 몰입감있는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가우디오에서는 한번 읽어볼 만한 논문이라 이렇게 시작을 해 봅니다.
다양한 콘텐츠를 기반으로 수많은 플랫폼 탄생하는 시점에서, 플랫폼 제작자라면 라우드니스 정규화 솔루션을 통해 유저들에게 쾌적한 사운드 경험을 제공해야하지 않을까요?
아직 라우드니스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라우드니스를 정규화 해야할지 답이 나오지 않았다면
그 솔루션을 가우디오랩의 라우드니스 SDK를 통해 만나보시죠.
라우드니스와 LKFS, 흔하지 않지요?
또한 LKFS 관련 문서를 읽다보면 “그래서 이게 도대체 뭔 소리야..?” 라는 소리가 나오는 지루한 내용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라우드니스와 LKFS, 그리고 데시벨까지 쉽게 정복할 수 있는 포인트 콘텐츠를 준비보았습니다.
Introduction 당연한 말이지만,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의 목소리, 아름다운 음악 등 세상에 존재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이유는 바로 두 귀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똑같이 생긴 사람이 없는 것처럼, 귀 또한
아이오와 주립대학(University of Iowa)에서 뇌과학의 한분야로서 Hearing Science를 연구하고 계신 최인용 교수님의 바는 방한일정을 비집고 어렵게 모셨습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서 제가 배운 것중 가장 재밌었던 것은 우리가 말소리를 이해하는데 얼마나 노력(attention and effort)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그 비밀이 밝혀져가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거기에 Binaural Hearing, 즉, 우리가 두 개의 귀를 가지고서 소리의 방향을 구분해내는 것이 노력을 줄이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는 가설입니다.
음원이 공간에 퍼져있을 때 과연 auditory system 에서는 몇 개의 음원에 대해서 처리할 수 있을까? 즉 사람은 동시에 몇 개의 음원까지 분리해서 인지할 수 있는가? 에 대한 질문입니다. 사실 사람의 localization 능력에 대한 실험과 연구는 꽤 오래전부터 해 왔고 그 결과들이 실제 많은 연구와 제품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단일 음원에 대한 localization 능력에 좀 더 집중했다면, 최근의 localization 연구는 복수의 음원에 대한 localization 능력을 연구하는데 집중이 되어 있는 듯 합니다. 이 논문에서는 총 4개의 실험을 통해서 위 질문에 대한 답을 내리려고 합니다. 실험 시작 전에 실험 세팅 및 그 외 환경을 간단히 정리하고 갑시다.
Loudness란 인간 청각의 지각 정도에 의해 느끼는 소리의 크기를 뜻합니다. 내가 지금 듣고있는 노래의 크기를 주변 사람에게 알려준다고 가정해봅시다! 일단 소리가 크다면 Loudness가 크다고 할 수 있고, 소리가 작다면 …